리움미술관 《이불: 1998년 이후》 개최
- 동시대 미술의 최전선을 걸어온 이불 작가의 대규모 서베이 전시로,
1998년 이후 현재까지의 주요 작업을 예측불가능한 풍경으로 조망
- 인간과 기술, 시대와 문명에 대한 탐구를 담은 작품세계를 통해
인류의 과거, 현재를 성찰하고 미래를 다양하게 상상해 볼 기회
리움미술관은 한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 이불의 대규모 서베이 전시 《이불: 1998년 이후》를 9월 4일(목)부터 2026년 1월 4일(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199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온 작가의 주요 작업을 종합적으로 조망하며, 조각, 대형 설치, 평면, 드로잉과 모형 등 150여 점을 전시한다.
이불은 1980년대 후반 한국의 사회정치적 맥락과 맞물린 급진적 작업을 선보이며 등장한 이래 지금까지, 신체와 사회, 인간과 기술, 자연과 문명의 관계와 이를 둘러싼 권력의 문제를 폭넓게 탐구하며 동시대 미술의 주요 작가로 자리매김해 왔다. 1990년대 후반 주요 미술관 전시와 비엔날레를 통해 〈사이보그〉, 〈아나그램〉, 노래방 연작 등을 발표하며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고, 2005년부터는 근대의 유산과 유토피아적 비전을 탐구하는 건축적 설치 연작 〈몽그랑레시(Mon grand récit)〉를 전개하며 작품 세계를 확장했다. 2010년대부터는 평면 작업을 본격적으로 전개하며 새로운 형식적, 재료적 실험을 이어가고 있다.
그간 해외 주요 미술관에서는 이불의 작품 세계를 폭넓게 조망하는 대규모 개인전이 이어져 왔다. 이에 반해 국내에서는 프로젝트 규모의 전시가 열려 왔고, 2021년 서울시립미술관 개인전에서 1980년대 후반부터 약 10년간의 초기 작업과 퍼포먼스를 집중적으로 다룬 바 있다. 리움미술관의 이번 전시는 1990년대 후반 이후 지난 30여 년간의 작업을 선보이는 국내 첫 대규모 전시이자, 아시아에서는 13년 만에 최근작을 포함하여 기획된 서베이 전시로 주요 해외기관으로 순회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전시는 작가의 대표적 초기작인 〈사이보그〉와 〈아나그램〉, 노래방 연작과 더불어 〈몽그랑레시〉 연작을 중점적으로 선보이며, 인간과 기술의 관계, 유토피아적 모더니티, 인류의 진보주의적 열망과 실패에 대한 작가의 지속적 탐구에 주목한다. 전시의 구성은 연대기적 순서를 따르기보다 작품세계를 입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게 하는 예측불가능한 풍경처럼 펼쳐진다.
기획전시장의 입구인 슬로프 공간에는 길이 17미터에 달하는 은빛 비행선 〈취약할 의향–메탈라이즈드 벌룬〉이 설치되어 관람객들을 맞이한다. 이 작품은 20세기 초 체펠린 비행선을 참조하였으며, 기술 진보에 대한 인류의 열망과 그 좌절을 동시에 상징한다. 함께 전시되는 〈롱 테일 헤일로: CTCS #1〉은 2024년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더 제네시스 파사드 커미션’을 위해 제작된 작품이다. 시대와 양식을 아우르는 미술사적 참조와 인체, 기계, 건축 파편과 같은 형태가 뒤섞인 듯한 이 작품은 인간과 기술문명, 역사와 문화의 다층적 요소가 긴 여운을 드리운 후광처럼 공존한다.
블랙박스 공간에서는 대규모 거울 설치 작업 〈태양의 도시 II〉가 벽과 바닥을 감싸며 관람객을 혼란스럽고 몰입적인 세계로 끌어들인다. 이 공간에는 작가의 초기 대표작인 〈사이보그 W6〉, 〈무제(아나그램 레더 #11 T.O.T.)〉, 1999년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소개된 노래방 작업 〈속도보다 거대한 중력 I〉, 그리고 근대 건축의 유토피아적 상징을 차용한 〈오바드〉가 함께 배치된다. 서로 다른 연작임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들은 인간과 기술의 관계, 완전성을 향한 열망, 유토피아적 이상과 그 좌절이라는 공통된 질문을 던지며 연결성을 드러낸다.
그라운드갤러리에서는 2005년 이후 전개된 〈몽그랑레시(Mon grand récit)〉 연작이 전시의 중심을 이룬다. 이 연작은 프랑스 철학자 장-프랑수아 리오타르가 제시한 ‘거대 서사에 대한 불신’을 출발점으로 한다. 작가는 보편적이고 단일한 서사 대신 개인과 집단의 기억, 역사의 파편들,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소를 뒤섞어 알레고리적 풍경을 구축한다. 여기에는 러시아 구축주의, 독일 표현주의 건축가 브루노 타우트, 유토피아 문학, 낭만주의 풍경화, 한국 근현대사 등 다층적인 참조가 작품 속에 공존하며, 서로 충돌하고 교차하는 풍경을 만들어낸다.
또한 201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전개된 평면 연작인 〈퍼듀〉와 〈무제(취약할 의향–벨벳)〉도 선보인다. 이들 연작은 내용적으로는 작가의 대표적 조각 연작의 주제와 모티프를 반영하면서, 형식적으로는 회화와 조각을 넘나드는 화면을 구성하거나 자개, 벨벳 등 새로운 재료 실험을 시도하기도 한다.
관람객은 전시 공간을 이동하며 은빛 비행선, 거울 미로, 폐허를 닮은 구조물, 아득한 별과 가상의 공간들을 마주하게 된다. 다층적인 시간과 공간을 넘나드는 여정은 단순히 작품을 감상하는 차원을 넘어, 시작과 끝이 없는 풍경 속에서 인간과 문명, 그리고 미래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제기하도록 이끈다.
전시를 기획한 리움미술관 곽준영 전시기획실장은 “이번 전시를 통해 이불 작가를 바라보던 기존의 시각에서 벗어나, 미술, 건축, 문학, 사회 이론과 철학적 사유를 넘나들며 인류의 과거와 현재를 성찰하고 가능한 미래들에 대한 확장된 사유를 이끌어 온 작가의 폭넓은 작품세계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불의 예술 세계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연계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9월 27일(토) 에는 이불 작가가 직접 1998년 이후 주요 작업을 설명하는 아티스트 토크가 진행되며, 10월에는 곽준영 전시기획실장의 큐레이터 토크를 통해 전시 기획 의도와 배경을 깊이 있게 들을 수 있다. 11월에는 〈몽그랑레시〉 연작의 건축적 요소와 개인적 서사를 철학, 건축, 미학적 관점에서 조망하는 주제 강연이 예정되어 있다. 모든 프로그램은 리움미술관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예약으로 참여 가능하다.
이번 전시는 리움미술관과 홍콩 M+가 공동 기획했으며, 2026년 3월 홍콩 M+로 이어지는 국제 순회가 예정되어 있다. 더불어 세계적 예술 출판사 Thames & Hudson과 함께 이불의 첫 모노그래프를 출간해, 그의 예술세계를 체계적으로 정리할 계획이다. 이는 한국 현대 미술 작가의 작업을 국제 순회 전시와 동시에 다국어 단행본으로 출간하는 이례적인 시도로, 이불의 작품세계를 국내외 예술 담론 속에 확고히 자리매김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다. 모노그래프는 영문, 국문, 중문판으로 동시 출간되며, 이후 불문판도 추가로 발간될 예정이다.
이불 작가
이불(LEE BUL, 1964년생)은 1960년대 중반 한국의 정치·사회적 변혁기 속에서 태어나 성장했다. 홍익대학교 조소과에 진학한 작가는 일찍부터 학제와 장르를 넘나드는 실험에 몰두했다. 1980년대 후반 한국 사회의 격동적 분위기 속에서 신체를 직접 매개로 삼은 퍼포먼스와 소프트 조각, 설치 작업을 선보이며 주목받았고, 사회 제도와 권력 구조, 젠더 문제를 과감히 드러내는 작업으로 한국 현대미술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1990년대 후반에는 인간과 기술, 유기체와 기계의 관계에 주목하며 작품 세계를 확장했다. 뉴욕 현대미술관에서 강렬한 반향을 불러일으킨 〈장엄한 광채(Majestic Splendor)〉(1997), 〈사이보그〉 연작(1997–2021)은 인류가 추구해온 불멸과 완전성의 욕망을 탐구한 대표작이다. 이어 1999년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대표작가로 참여해 노래방 작업을 발표했으며, 이를 통해 개인적 서사와 기술 문명을 결합한 독창적 미학을 구축했다. 이러한 작업들은 작가를 국제무대에서 가장 주목받는 한국 작가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하게 했다.
2000년대를 기점으로 작가는 초기 도상파괴적 퍼포먼스 형식을 지나 유토피아적 모더니티, 예술과 건축의 역사적 아방가르드, 그리고 세계를 재창조하려는 진보주의적 시도에 내포된 인류의 열망에 관한 지속적인 탐구를 이어오고 있으며, 작가는 이를 통해 예술적 개념의 경계를 허무는 공감각적 설치, 조각, 회화 등으로 끊임없이 작품 세계를 확장해 나가고 있다.
이불은 아트선재센터(서울, 1998), 로댕갤러리(서울, 2002), 뉴뮤지엄(뉴욕, 2002), 호주 현대미술관(시드니, 2004), 까르띠에 현대미술재단(파리, 2007), 모리미술관(도쿄, 2012), 국립현대미술관(서울, 2014), 팔레 드 도쿄(파리, 2015), 헤이워드 갤러리(런던, 2018), 마틴 그로피우스 바우(베를린, 2018), 서울시립미술관(2021) 등 국내외 주요 기관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2024년에는 한국 그리고 아시아 작가 최초로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더 제네시스 파사드 커미션(The Genesis Facade Commission)’에 초청되었다.
그의 작품은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구겐하임 미술관(뉴욕),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테이트 모던(런던), 대영박물관, 캐나다 국립미술관, 모리 미술관, M+ 홍콩, 리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등 세계 유수 기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불은 2022년에는 시카고 예술대학으로부터 명예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제9회 루트 바움가르트 상(2023), 호암 예술상(2019), 프랑스 문화예술공로훈장 오피시에(2016), 광주비엔날레 눈 예술상(2014), 베니스 비엔날레 특별상(1999) 등을 수상했다.
이불은 동시대의 보편적 문제를 예술로 풀어내며, 오늘날에도 한국을 넘어 전 세계 젊은 예술가들에게 끊임없이 영감을 주는 선구적 인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