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31

[2015.11.18] 미술단신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 그룹전 ‘도시의 징후(Symptoms of the City)’ 

헨드리크 뵈르켈, 카타 리프스, 옐레나 이노젬체바 등 독일 라이프치히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회화 작가들을 소개하는 그룹전 ‘도시의 징후(Symptoms of the City)’가 27일까지 서울 강남구 갤러리 플래닛에서 열린다. 1990년대 이후 독일 현대미술의 중심으로 자리 잡은 라이프치히 아트 신의 최근 양상을 살필 수 있다. 02-540-4853


■ 내일의 작가상 수상전-유비호: 해질녘 나의 하늘에는

서울 종로구 성곡미술관은 ‘내일의 작가상 수상전-유비호: 해질녘 나의 하늘에는’을 12월 31일까지 연다. 소외된 사람들의 생활과 시선을 담은 영상, 사운드 설치, 사진 작품을 선보인다. 02-737-7650 


■ 서동욱 작가의 개인전 ‘야행(夜行)’ 

서동욱 작가의 개인전 ‘야행(夜行)’이 12월 6일까지 경기 파주시 갤러리소소에서 열린다. 인공조명 없이 태양빛 아래에서 우울한 표정과 자세를 취한 젊은이들의 모습을 그린 유채화를 선보인다. 031-949-8154 


■ 이예빛 작가의 개인전 ‘신비가 내리다’ 

이예빛 작가의 개인전 ‘신비가 내리다’가 24일까지 서울 종로구 세움아트스페이스에서 열린다. 한지 위에 콩즙을 섞은 안료로 채색해 따뜻하고 도톰한 질감을 낸 정겨운 이미지의 회화를 만날 수 있다. 02-733-1943  


- 동아일보 2015.11.18

[2015.11.17] 문화동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정성윤(42)씨 개인전 ‘Heart-Less(심장-없는)’가 서울 창성동 토마스 파크 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다. 49개의 검은색 당구공을 이용해 위태로운 남녀간의 사랑을 표현한 ‘They Spin Like Nonsense(그들은 터무니 없이 돌았다)’ 등을 선보인다. 다음달 5일까지. 02-723-2973.

- 중앙일보 2015.11.17

[2015.11.17] 알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 석남미술이론가상운영위원회는 16일 국내 미술비평의 기초를 다진 석남 이경성(1919-2009)을 기리는 ‘제2회 석남을 기리는 미술이론가상’ 수상자로 최은주 경기도미술관장을 선정했다. 시상식은 27일 남양주 모란미술관에서 열린다.

- 한겨레신문 2015.11.17



◇ 한국예술상위원회는 16일 ‘제8회 한국예술상’ 수상작으로 시 부문에 박무웅 시인의 시집 <공중국가>, 미술 부문에 조강훈 화가의 ‘달리는 소’를 각각 선정했다. 시상식은 28일 성균관대 글로벌센터 대강당에서 열린다.

- 한겨레신문 2015.11.17


◇강신겸 전남대 문화전문대학원 교수는 18일 오후 1시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정보원에서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지원포럼, 광주전남기자협회,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전남대 공동으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 지역의 길을 묻다'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한다.

-매일경제 2015.11.17

[2015.11.16] 인사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체육관광부◇과장급(지방 국악원장)

▷국립국악원 국립남도국악원 원장 학예연구관(임기제) 정상열 


- 이데일리 2015.11.16

- 국민일보, 서울경제, 경향신문, 문화일보 2015.11.17





[2015.11.16][매경e신문] 오늘의 프리미엄-이우환 화백이 베이블 그린 와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 이우환 화백이 레이블 그린 '무통' 와인 


이우환 화백이 한국인 화가로는 최초로 레이블을 그리게 된 프랑스 고급 와인 샤토 무통 로트칠드. 지금까지 무통의 아트레이블을 그린 화가는 파블로 피카소, 마르크 샤갈 등 세계적인 거장들이었다. 무통을 직접 방문해 1급 와이너리의 역사와 자존심을 들어봤다.

※ 매경e신문 기사들은 PC(digital.mk.co.kr)와 태블릿PC·스마트폰으로 볼 수 있습니다.


-매일경제 2015.11.16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