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32

[2015.01.30] 김희범 문체부 제1차관 지난주 돌연 사표 제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김희범(사진)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이 지난주 사표를 제출한 뒤 출근하지 않는 것으로 29일 확인됐다.

문체부 고위 관계자는 이날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사표를 받은 김종덕 문체부 장관이 후임이 올 때까지 기다려 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김 1차관은 몸이 안 좋다며 연가를 냈고 지난 26일부터 출근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문체부 다른 관계자는 “사의를 표명한 것은 맞지만 이유는 잘 모른다”면서 “개인 사정 때문일 것”이라고 전했다. 현재 김 1차관의 사표는 수리되지 않은 상태이며, 김 1차관은 전화를 받지 않고 있다.

관료 출신인 김 1차관은 애틀랜타 총영사를 지내다 지난해 7월 1차관에 임명됐다. 유진룡 전 장관의 면직에 이어 정성근 장관 후보자 낙마로 문체부 장관 부재 상황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김 1차관은 장관권한대행을 맡아 무리 없이 업무를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 때문에 김 1차관의 사의 표명은 갑작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김 1차관은 지난주 신년 업무보고까지 마친 상태였다. 문체부는 1차관의 사표 제출 사실을 1주일째 함구해 의혹을 키우고 있다. 일각에선 지난해 10월 취임한 김종덕 장관과의 불화설이 흘러나오고 있다. 

 

-국민일보 2015.01.30 

[2015.01.29] ‘조선왕실 어보’ 고문헌 전시와 특강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국립중앙도서관은 ‘옛 문서와 책에서 본 어보’ 전시를 3월 30일까지 본관 6층 고전운영실에서 연다. 왕의 교지, 옥책문 등 어보가 찍힌 고문헌 25종 58점을 전시하고, 조선 왕실의 국새와 어보 전문가인 성인근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임연구원이 30일 특강을 한다.


-한국일보 2015. 01. 29


[2015.01.29][부고]美의회도서관 한국학 안내 양기백 박사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미국 의회도서관에서 46년을 근무하며 한국학 연구자들의 길잡이 역할을 했던 양기백 박사(사진)가 16일 숨을 거뒀다. 향년 96세. 양 박사의 외조카인 전영혜 경희대 명예교수는 28일 “양 박사가 노환으로 미국 워싱턴DC의 자택에서 숨을 거뒀고, 다음 달 1일 장례식을 치를 예정”이라고 말했다. 양 박사는 미 의회도서관에서 46년 6개월을 근무하면서 한국과장, 동양학부장 등을 역임했다. 도서관에 한국과를 설립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 재임하면서 270권에 불과하던 한국 관련 서적을 퇴임 때 12만여 권으로 늘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동아일보 2015.01.29

[2015.01.28]허달용 광주민족미술인협회장 선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사)광주민족미술인협회(이하 광주민미협) 제5대 신임회장에 허달용 작가 선출됐다. 임기는 2017년까지 2년이다.


허 신임회장은 최근 광주시 동구 동명동주민커뮤니센터에서 열린 ‘제9차 광주민미협 정기총회’에서 조정태 회장의 뒤를 이어 만장일치로 선출됐다.


허 회장은 “광주미술계의 선두적 역할을 할 수 있는 단체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광주민미협은 매년 ‘5·18광주민중항쟁 기념전’, ‘우공이산전’, ‘무등산사랑사생실기대회’ 등을 주최하고 있으며, 마을문화아카이브와 문화예술교육, 공공미술 활동 등을 하고 있다.


한편 허 회장은 전남대 예술대학 미술학과를 졸업했으며 광주·전남미술인공동체 회장, 광주민예총 회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광주시립미술관 운영 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김경인기자


-광주일보 2015.01.28

[2015.01.27]'광주조선백자요지'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김흥식 경기개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6일 '광주 조선백자요지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대응전략' 연구보고서에서 광주 조선백자요지의 현황과 가치를 바탕으로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방향을 제안했다. 광주 조선백자요지는 조선시대 백자 도요지로서의 고고학적 유산이라는 유형적 가치와 조선백자 생산기술의 무형적 가치를 지닌 문화유산이다. 

윤종열기자


-서울경제 2015.01.27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